이동 삭제 역사 ACL 사이버 가수 (r3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대중문화]]의 사이버 가수 == 대중문화에서 [[아이돌물]]이라는 장르가 형성되었으며, 좁은 의미의 사이버 가수와는 장르적으로 구분된다. 애니메이션 등의 대중문화에서는 1970년대 후반부터 이어진 아이돌 열풍으로 1980년대에는 [[마법소녀물]]과 결합된 형태의 아이돌물이 몇 작품 나왔다. 상품으로서의 사이버 가수와는 별개로, 최초로 히로인이 아이돌 가수로서 등장하는 애니로는 1971년작 떠돌이 태양으로, 최초로 현실 아이돌을 성우로 기용한 사례이기도 하다. 그러나 큰 반향을 얻진 못했고, 크게 인기를 끈 작품으론 1982년작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1983년작 [[마법의 천사 크리미마미]]가 있다. 아이돌을 주요 소재로 한 최초의 게임으로는 93년작 [[탄생]]이 있다. 아이돌을 소재로 한 [[육성 시뮬레이션]] 게임으로서 당시 애니메이션화되고, 드라마CD가 발매되는 등 등 상당한 인기를 얻었다. 이 게임의 등장 아이돌들은 게임 내 수록곡이 있었지만 게임 밖에서 아이돌 명의로 활동하지는 않았다. [youtube(Cj82SwK8aOI)] 대중문화의 캐릭터가 아이돌화 된 특기할 사례라면 역시 1994년 최초 발매되어서 엄청난 바리에이션을 뿜어낸 [[도키메키 메모리얼]]의 [[후지사키 시오리]] 아이돌화 계획이 있는데, 이는 1997년 [[플레이스테이션]]과 [[세가새턴]]으로 동시발매된 '도키메키 메모리얼 selection 후지사키 시오리' 팬디스크를 필두[* 첫 음원 공개는 1996년 12월이었다.]로 싱글 5장, 정식 앨범 3장, 베스트 앨범 1장으로 총 9가지. 최초 앨범인 My Sweet Valentine의 경우는 오리콘차트에서 9위를 기록할 정도로 제법 잘 나갔다. [[다테 쿄코]] 문서에서도 이야기가 나오지만, 이 당시에는 '''버추얼 아이돌'''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으며, 앨범 발매 자체는 다테 쿄코보다 늦지만, 아이돌 개념 자체는 이 쪽이 오히려 더 빨랐을 정도였다. 아이돌마스터의 조상님 격이긴 한데, 이건 후지사키 시오리라는 당대로서는 괴랄할 정도로 인기를 끌은 캐릭터의 인기에 의존하고 있었기 때문에 후속작이 나오지 않아서 여기서 종료. 3D 그래픽으로 본격적인 사이버 아이돌 개념을 게임으로서 구현한 건 [[2005년]]부터 아케이드판으로 시작된 [[아이돌 마스터]]인데, 이 시리즈가 본격적으로 인기를 끌면서부터 사이버 아이돌 장르가 재조명받게 된다. 이후 [[러브라이브!]] 프로젝트가 발표되고 팬덤의 크기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으로 커지자, 이후에는 아예 '사이버 아이돌' 또는 '가상 아이돌'이라는 용어가 준공인 수준으로 자리잡게 된다. 가상 아이돌은 게임, 애니메이션, 만화, 소설, 드라마CD 등의 [[미디어믹스]]화를 통해 사이버 가수에게 부족하다고 여겨지던 '인간적인 매력'을 확보했다. 살아 있는 사람을 원하는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는 대신 실제 아이돌이 할 수 없는 각종 가상 작품 출연을 하고 그로써 캐릭터로서의 매력을 어필한 것. 오프라인 활동이 어렵다는 한계는 [[성우]]들을 제2의 멤버로 활용함으로써 어느 정도 극복했다. 즉 성우들이 캐릭터의 담당자로서 콘서트, 팬미팅, 라디오 진행 등의 활동을 하는 것이다. 이 방침이 성공해 가상 아이돌들은 현재 서브컬처에서 엄청난 인기를 얻고 있다. 현재의 가상 아이돌은 별도의 서사 없이 독립적인 캐릭터로 활동했던 90년대 사이버 가수들보다는 [[탄생]]과 맥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가상 아이돌은 특정 작품 안에서만 인기가 있어 대중성이 부족하고, 그것도 [[오타쿠]] 문화에 대한 거부감을 생각하면 지상파 방송 출연이 불가능한 정도이므로 대중적이었던 1990년대 사이버 가수들의 후계자로 인정할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가상 아이돌'이라는 이름 아래 실시되고 있는 프로젝트들이 실질적으로 [[아이돌]] [[성우]] 기획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이는 음반 발매와 콘서트 등의 성우 중심 컨텐츠만으로 가상 아이돌계를 파악해서 생긴 오해이다. 실제로는 각 가상 아이돌의 항목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성우 기획으로 볼 수 없는 활동이 대부분이다. 또 성우 중심 컨텐츠더라도 캐릭터 명의로 진행한다면 성우로서 진행할 때와 확실한 차이가 생긴다. 신데마스 라디오 등 참고.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18.222.132.10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